• 인쇄
  • 전송
  • 기사목록

국립창원대 박용갑 교수팀, 열유체 분야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 제시

상변화물질 활용 에너지저장장치 효율 향상 등 열공학 분야 상위 5% 논문 포함 다수 SCI 논문 게재

cnbnews손혜영⁄ 2025.06.18 15:15:03

(왼쪽부터)박용갑(지도교수), 김관규(석사졸업, STX엔진), 권정근(박사과정), 안성환(학석사연계과정).(사진=국립창원대 제공)

국립창원대학교는 공학융합학부(기계공학전공) 박용갑 교수 연구팀이 최근 4건의 SCI 논문을 게재했다고 18일 밝혔다. 첨단방위공학과정 김관규(2025년 2월 석사졸업, STX엔진 재직 중)는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잠열 저장 시스템 형상 최적화’에 관한 주제로 국제 저명 학술지인 ‘Case studies in thermal engineering(IF: 6.4, JCR%: 5.8%(5/78) in Theymodynamics)에 게재했다. 해당 논문은 차량용 배터리 냉각 및 태양열 열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형상변수에 대한 영향을 전산해석을 통해 분석했다. 해당 형상변수를 적용한 결과, 기존 형상 대비 평균 동력을 최대 140.08% 증가시켰다.

또한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 권정근(박사과정)은 ’다물리해석기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에 대해 연구했으며, 집진판의 형성과 배치변수에 따른 집진현상 변화에 대해 규명했다.

해당 주제로 ’Powder Technology(IF: 4.5)와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IF:1.5)에 2건 게재했으며, 집진판에 기울기를 적용한 경우 최대 10%, 집진장치에 형상변수를 적용한 경우 최대 9%의 집진 효율 향상을 달성했다.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 안성환(학석사연계과정)은 히트싱크 내부에 Lattice 구조를 적용한 논문을 바탕으로 종횡비 최적화를 통해 최대 12% 효율 상승을 이끌었으며,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IF: 1.5)에 게재(2025년 10월 출판예정)했다.

박용갑 교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한 CFD를 기반으로 에너지 효율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에너지 관련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립창원대 박용갑 교수 연구팀은 BK21 스마트공장 교육연구단(4단계 BK21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혁신 연구센터(극한환경스마트기계부품 설계/제조 혁신센터),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및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LG전자와 함께 글로컬대학기술센터를 통한 산학교류 활동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 CNB뉴스, CNBNEWS, 씨앤비뉴스
  • 인쇄
  • 전송
  • 기사목록
배너
배너

섹션별 주요기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