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 2025.03.31 18:22:56
경남 산청·하동에서 열흘 동안 이어졌던 대형 산불이 사실상 진화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도는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본격적인 복구 총력 체제에 돌입했다.
경남도는 31일 도청에서 박완수 도지사 주재로 실국 본부장 회의를 열고 피해 지원과 향후 복구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박 지사는 “모두의 헌신 덕분에 이번 산불을 막을 수 있었다”며 감사를 전한 뒤 “이제는 도민들의 일상 회복이 최우선”이라며 “각 실국은 피해 복구와 행정 지원에 최선을 다해 조속히 도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이어 박 지사는 산불 진화 중 순직한 네 명의 희생자에 대해 애도를 표하며, “장례는 마무리됐지만 유가족에 대한 보상 지원은 끝까지 도가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분향소 현장에서 근무한 직원들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슬픔을 함께하며 예우를 지켜줬다”며 감사를 전했다.
피해 주민들에 대한 실질적 지원도 강조했다. 박 지사는 “아직까지 주민들이 임시 거처에 머물고 있고 대부분 고령자”라며 “산청군과 협의해 선비문화연구원 등 보다 쾌적한 장소로 조속히 옮겨 불편함이 없도록 세심히 살펴달라”고 지시했다.
또한 박 지사는 이번 산불 대응에서 야간 진화의 어려움이 반복됐다고 지적하며, “드론, 열화상 장비 등 첨단 장비를 도가 직접 개발하거나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도가 운영 중인 헬기 7대로는 부족하다. 시군 단위로 추가 임차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도비를 보조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라”며 장비 확충 의지를 밝혔다.
실화자에 대한 엄정한 책임 추궁과 제도적 개선 필요성도 제기했다. 박 지사는 “산불은 한순간의 실수로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초래한다”며 도 차원에서 관련 조례 제정과 중앙정부 건의를 병행해 제도적 대응 강화를 주문했다.
또한 박 지사는 이번 대응 과정을 체계화하고, 장비․인력 처우 개선도 강조했다. 박 지사는 “초기에는 다소 혼선이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각 기관이 체계적으로 대응해 진화가 가능했다”며 “이번 경험을 매뉴얼로 체계화해 재난 발생 시 초동 대응단계부터 흔들림 없이 작동하도록 체계를 정비하라”고 말했다. 이어 “노후 장비는 신속히 교체하고, 진화대원의 장비·교육·처우 등도 전반적으로 검토해 인명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산불 예방을 위한 전방위 대응 체계도 주문했다. 박 지사는 “4월은 행락철·청명·한식 등으로 산림 인접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라며 “경계 태세를 한층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올해는 봄비가 거의 없어 자연 진화 가능성이 낮고 강풍도 잦은 만큼 사전 대응이 그 어느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박 지사는 “이번 산불은 어느 한 부서만의 일이 아니라 도 구성원 전체가 총력 대응해 진화를 이뤄낼 수 있었다”며 “양 부지사를 중심으로 모든 직원들이 맡은 바 역할을 다해줘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