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기사목록

합천 해인사 백련암 소장 경전 등 7건, 경남도 문화유산 지정·등록

국내 유일본인 해인사 백련암 소장 '십현담요해언해', 남해 화방사 삼창 공덕주 충찰화상의 유일한 진영 등

cnbnews최원석⁄ 2025.04.03 19:14:27

합천 해인사 백련암 불선관정발제과좌생사득도경. (사진=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 '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 등 불교문화유산 7건을 도 문화유산으로 지정·등록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도 유형문화유산은 '합천 해인사 십현담요해언해(十玄談要解諺解)'와 '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2건이다.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언해'는 조선 전기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이 간략히 풀이해 놓은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의 언해본으로 1548년(조선 명종 3) 강화도 마니산 정수사에서 간행했다. 간경도감(1461~1471) 폐지 이후의 인쇄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현재까지 동일본이 확인되지 않은 유일본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

'합천 해인사 홍련암 금강반야바라밀경'은 1564년(조선 명종 19) 황해도 구월산 패엽사에서 간행했다. 책의 구성은 상단에 그림을, 하단에 본문을 기술하고 있어 고려시대본과 비슷하며 변상도와 함께 장마다 삽화가 수록된 판화본이 있어 불교사나 미술사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된 문화유산은 '합천 해인사 백련암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및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 합부', '산청 능인암 충찰화상 진영' 등 4건이다.

 

산청 능인암 충찰화상 진영. (사진=경남도 제공)

합천 해인사 백련암 소장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및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 합부'는 조선 전기 김시습이 저술한 것으로 15세기 조동종의 사상 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불설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권제12(佛說灌頂拔除過罪生死得度經 卷第12)'는 1243년(고려 고종 30) 대장도감(1236~1392)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판의 조선시대 인경본으로 불교경전 연구에 있어 자료적 가치가 있다.

'창녕 무심사 육경합부'는 1424년(세종 6) 당대 명필인 성달생(成達生, 1376~1444)이 발문을 짓고 전라도 고산 안심사에서 개판(開板)한 목판의 인경본이다. 현존하는 '육경합부' 중 안심사 판본이 많지 않아 희소성이 있어 학술 가치가 있다.

'산청 능인암 충찰화상 진영'은 남해 화방사의 삼창(三創) 공덕주로 알려진 충찰화상(忠察和尙)을 그린 유일한 그림이다. 인물표현, 방석, 유려한 필치, 색채감 등을 통해 19세기에 조성된 불화로 추정되며 조선 후기 진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학술 가치가 있다.

도 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김해 장곡사 괘불도'는 1922년 수화승 진음상오(震音尙旿, 생몰연대 미상)가 그린 족자형태의 대형 불화로 화면 중앙에 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가섭과 아난이 협시하고 있는 삼존 형태의 그림이다. 근대기 불교사에 한 획을 그은 만암종헌(曼庵宗憲, 1876~1957)이 증명법사로 제작에 참여한 불화로서 시대성이 반영된 작품으로 등록 가치가 있다.

박일동 도 문화체육국장은 “도내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지역의 문화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시군,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CNB뉴스, CNBNEWS, 씨앤비뉴스
  • 인쇄
  • 전송
  • 기사목록
배너
배너

섹션별 주요기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