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 2025.05.13 15:52:07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가 13일 진주 케이(K)-기업가정신센터에서 제6차 회의를 열고 행정통합과 관련된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위원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부산·경남 윤번제 개최 원칙에 따라 경남 진주에서 개최됐다. 주요 논의 안건으로는 일부 위원의 사임 요청에 따른 위원 구성 변경, 6~7월에 예정된 시·도민 토론회 추진 사항, 시도민 인지도 조사 문항 검토, 경남·부산연구원의 공동 연구용역에 대한 의견 제시 등이 포함됐다.
회의는 △기획·소통분과 △자치분권분과 △균형발전분과로 나뉘어 분과별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기획·소통분과는 내달 13일부터 7월 중순까지 경남과 부산에서 총 8차례 개최 예정인 시·도민 토론회 추진 방안과, 토론회 이후 실시될 시·도민 인지도 조사와 관련해 부산·경남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조사 문항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자치분권분과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방세 등 자주재정권 특례 방안을, 균형발전분과는 경남·부산의 주력산업육성기금 조성, 규제자유특구 및 투자선도지구 관련 권한 이양 특례 방안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갔다.
특히 자치분권분과와 균형발전분과는 6월부터 본격 추진될 경남·부산연구원의 공동 연구용역이 공론화위원회 운영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관련 의견도 제시했다.
권순기 공동위원장은 “이번 회의를 경남 서부권의 중심 지역인 진주, 그것도 대한민국 경제기적을 이끈 4대 글로벌 기업 창업주들의 기업가정신을 기리는 케이(K)-기업가정신센터에서 열게 돼 매우 뜻깊다”며 “기업가정신의 의미를 되새기며,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를 위한 지혜를 함께 모색해나가자”고 말했다.
전호환 공동위원장은 “최근 부산·경남 행정통합에 대한 많은 의견이 각 시도의회, 부울경 포럼 등 다양한 단체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며 “공청회, 토론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생각을 모아 지역소멸 등 위기에 함께 대응해야 한다”고 전했다.
공론화위원회에서는 6월 13일부터 7월 중순까지 경남·부산에서 시·도민 토론회를 열고 시·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토론회 기간 동안에는 온·오프라인 매체를 활용해 적극적인 홍보와 소통도 병행한다.
아울러 하반기에도 지속적으로 시·도민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론화 의견서를 작성해 양 시·도지사에게 전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