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희⁄ 2025.04.10 09:31:38
부산시가 올해 다자녀가정을 위한 다양한 우대 혜택을 신설·확대하고, 기존 혜택 또한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고 10일 밝혔다.
우선, 자동차 취득세 감면 혜택의 대상을 기존의 3자녀 이상 가정에서 2자녀 가정까지 확대했다. 이는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따른 조치로, 만 18세 미만 자녀를 두 명 이상 양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7년 12월 31일까지 자동차를 취득해 등록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3자녀 이상을 양육하는 가정은 기존과 동일하게 차종에 따라 취득세 전액을 면제받을 수 있고, 2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은 최대 50퍼센트까지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기자동차 구매 시 제공되는 다자녀가정 대상 추가지원금도 대폭 확대됐다. 부산시에 거주하는 다자녀가정이 승용 전기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만 18세 이하 자녀 수에 따라 2자녀 가정은 100만 원, 3자녀는 200만 원, 4자녀 이상은 3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아이조아 부산조아’ 사업을 통해 2024년 1월 이후 출산한 가정이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에는 첫째 출산 시 100만 원, 둘째 이상 출산 시 150만 원의 지원금이 추가로 지급된다.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일정 금액을 환급해주는 케이(K)-패스 제도에도 다자녀가정 우대 혜택이 새롭게 도입됐다. 이에 따라 2자녀 가정은 월 최대 이용 횟수 내에서 이용 금액의 30퍼센트를, 3자녀 이상 가정은 50퍼센트를 환급받을 수 있다. 부산 동백패스 이용자의 경우, K-패스와 동백패스 중 더 높은 환급 금액으로 자동 적용돼 실질적인 부담 경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자녀가정을 위한 생활 분야 지원도 전반적으로 확대됐다. 아이돌봄 서비스의 우선 제공 기준은 기존의 12세 이하 자녀가 3명 이상이거나 36개월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가정에서, 올해 3월 31일부터는 12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가정으로 확대됐다. 또한,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교체) 비용 지원 대상에도 저소득 다자녀가구가 새롭게 포함돼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전망이다. 국립자연휴양림 이용 시 적용되는 다자녀가정 대상 할인 및 우선예약 혜택도, 두 자녀 이상 모두 만 19세 미만일 경우에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됐다.
부산시는 기존에 제공하던 다자녀가정 우대 혜택도 보다 편리하게 개선했다. 광안대교 스마트톨링 시스템이 개통된 올해 2월 1일부터는 부산시설공단과의 시스템 연계를 통해 3자녀 이상 다자녀가정이 우대 차량스티커나 가족사랑카드를 별도로 제시하지 않아도 무정차로 광안대교를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통행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용자는 광안대교 누리집에서 하이패스카드와 환불계좌 등을 등록하면 된다. 또한, 2023년 8월부터는 부산교통공사와 협업해 3자녀 이상 다자녀가정이 부산도시철도 모바일 앱을 통해 모바일 할인 승차권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했고, 올해 5월부터 시행되는 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 지원사업은 지난해보다 제출 서류가 간소화되어 보다 쉽게 신청할 수 있게 된다.
부산지역 민간기업과 소상공인 등도 자발적으로 다자녀가정 지원에 동참하고 있다. 현재 총 2991곳이 다자녀가정 우대에 참여하고 있으며, 부산 아이파크 축구단은 홈경기 관람 시 테이블석을 제외한 티켓 가격의 50퍼센트를 할인해주고 있다. 서면에 위치한 영광도서에서는 교과서를 제외한 도서 구매 시 10퍼센트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윈덤 그랜드 호텔은 2개 이상의 객실을 예약하는 다자녀가정에 1개 객실 요금의 50퍼센트를 할인해준다. 키자니아 부산은 다자녀가정에 반일권 입장료를 30퍼센트 할인해 제공하고 있다.
부산시는 신한카드와 제휴해 발급하는 부산가족사랑카드를 통해서도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카드를 이용하면 GS칼텍스 주유소에서는 리터당 60원에서 100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고, CGV나 메가박스에서 온라인 영화 예매 시에도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한편, 부산시는 2006년 전국 최초로 다자녀가정 우대제도를 도입했으며, 이후 교통, 문화·체육, 교육·육아, 생활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다양한 시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왔다. 관련 정보는 부산시 다자녀가정 지원 누리집 ‘당신처럼 애지중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