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혜영⁄ 2025.04.15 14:39:05
동아대학교 대학원 재난관리학과 및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는 한국리서치, 씨지인사이드와 공동으로 ‘세월호 11주기 재난안전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대형 사회재난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은 44%, ‘안전하다’는 응답은 17.6%에 그쳐, ‘안전하다’는 응답이 크게 감소했다.
‘안전하다’는 응답은 2021년 43.1% → 2022년 38.7% → 2023년 29.6% → 2024년 32.7% → 2025년 17.6%로, 지난 2021년 대비 25.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자들은 안전에 대한 책임은 ‘중앙정부(31.1%)’와 ‘대통령(26.4%)’에 있다고 응답했다.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 안전에 대한 책임은 지방자치단체가 2021년 6.9% → 2022년 7.6% → 2023년 8.3% → 2024년 6.3% → 2025년 14.2%로, 2021년 대비 2025년 7.3%p 급증했다.
또 전체 응답자들의 54.4%는 ‘향후 세월호 사고와 같은 대형 참사가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47.8%는 ‘대규모 참사가 10년 내에 발생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재난 대응 체제가 개선됐다’는 평가는 44.5%에 그쳤다.
다만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을 느끼는 집단일수록 ‘우리나라 재난 대응 체제가 개선됐다(65.7%)’고 보았으며,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는 집단은 35.8%만이 개선됐다고 봤다.
이에 대해 동아대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 측은 “주관적 체감과 제도 개선 평가 간 괴리가 드러난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가 재난 대비를 위한 인적자원(인력, 전문성 등)과 물적자원(장비, 물품 등)을 잘 확보하는지에 대해서는 각각 응답자의 26.8%와 27.6%만이 ‘잘 확보한다’고 응답했다.
‘인적자원을 잘 확보한다’는 비율이 2018년 26% → 2019년 24% → 2020년 54.8% → 2021년 42.5% → 2022년 37.2% → 2023년 19.6% → 2024년 30.6%, → 2025년 26.8%로 2018년 대비 2025년 0.8%p 증가했다.
‘물적자원을 잘 확보한다’는 비율은 2018년 26% → 2019년 27% → 2020년 48.9% → 2021년 44% → 2022년 40.9% → 2023년 25% → 2024년 34.5%로, → 2025년 27.6%로 2018년 대비 2025년 1.6%p 증가했다.
응답자들은 국가재난관리체계와 대규모 참사에서 재난 컨트롤 타워는 모두 ‘대통령’(각각 41.2%, 39.9%)이라고 인식했다.
특히 대통령을 대규모 참사에서의 재난 컨트롤타워로 보는 비율은 진보층은 60%, 보수층은 35.7% 보면서,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라 그 비율이 크게 달라지는 것이 확인됐다.
응답자들은 또 대규모 참사에서 효과적인 대응 및 수습을 수행한 주체는 ‘소방청’(64.6%)으로 인식했고, ‘대통령실’이 가장 효과적이지 않다(55.6%)고 인식했다.
긴급대응기술정책연구센터 측은 “이번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대형 사회재난에 대한 국민 불안은 여전히 높다”며 “책임 소재가 중앙정부와 대통령에 집중되는 양상 속에서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신뢰 회복과 함께 분권적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책임 인식이 빠르게 상승함에 따라 지방정부 중심의 분권형 대응체계 구축과 그에 따른 역량 강화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을 통해 url 발송) 방법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무작위추출을 전제할 경우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