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 2025.05.21 12:03:56
경남 진주시는 태풍과 호우로 인한 산림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5년 진주시 산사태 예방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자연재난 대책기간(~10월 15일) 동안 '산사태대책상황실'을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진주시 산사태 예방 종합대책'은 진주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해 '산사태 자연재난 사전대피 철저로 인명 및 재산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수립됐다. 종합대책에는 산사태취약지역 및 임도 시설지, 산불피해지 등에 대한 산림 관리 방안과 산사태 자연재난 신속 대응을 위한 '산사태현장예방단' 및 '산사태대책상황실' 운영 계획 등이 포함돼 산사태 예방 및 대응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우선 산사태취약지역의 효육적인 관리를 위해 산사태취약지역 143개소를 우기 전·중·후로 연 3회 이상 점검을 실시하고, 산사태취약지역 관리등급 Ⅰ등급(인명피해우려지역) 6개소의 41세대 66명이 산사태경보 발령 시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조력자를 지정했다.
또한 생활권 중심의 사방사업 신청 확대로 산사태취약지역 12개소를 대상지로 신청했으며, 올해 진행 중인 사방사업지 8개소에 대한 전수점검을 우기 전 완료했다.
아울러 지난 12일 여름철 산사태 자연재난 대비를 위해 진주경찰서, 진주소방서와 합동으로, 실제 주민대피 훈련을 실시해 자연재난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사태취약지역 이외에도 임도 시설지(53노선 146.7km), 이용객이 많은 관내 6대산 등산로(가좌·망진·비봉·석갑·선학·숙호산), 산불발생피해지(명석면, 수곡면), 산지전용지(92개소) 및 입목벌채 인허가지(54개소), 월아산 숲속의 진주, 정원 등을 일제 점검해 인명피해 예방을 최우선으로 산림재해 예방 점검 대상지를 확대하고, 우기 전·중·후 3회 점검을 실시하는 등 예방활동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시는 산사태 2차 피해 예방 및 신속한 점검·정비를 위해 산사태현장예방단을 산사태취약지역 143개소 등에 현장배치했다.
산사태현장예방단은 자연재난 대책기간 동안 산사태취약지역 및 사방지 점검·정비, 산림재해 위험목 및 고사목 제거, 산사태국민행동요령 홍보 등을 통해 산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방 활동을 진행한다.
또 전문기관의 직무교육을 통해 안전교육 및 현장실습을 통한 응급초지법 숙지 등으로 산사태현장예방단의 전문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시는 산림정원과, 읍면동과 함께 체계적인 산사태대책상황실 운영을 위해 호우 예보에 따른 산사태대책상황실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산사태취약지역 143개소 중 거주민이 있는 98개소의 309세대 451명의 대피체계를 구축했다.
18개 유관기관과 주민대피 체계를 공유해 호우 및 태풍 발생 시 신속한 현장대응으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했으며, 수방자재 및 지역 의료기관 조사를 통해 산사태 발생 시 즉시 투입 가능한 장비와 인력을 사전에 파악해 최악의 상황에서도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사전준비를 마쳤다.
시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인한 산사태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산사태 예방과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산사태는 무엇보다 일몰 전 사전대피로 시민의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으며, 산사태 위험 발생 시 재난문자, 마을방송 등의 안내에 따라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